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JTAG 의 개념과 배선시 고려사항

[ PCB설계 ]/1. PCB설계개론

by HUMINS 2017. 10. 8. 18:50

본문

안녕하세요. 휴민스 전자캐드 연구실입니다.


흔히 JTAG을 디버깅을 위해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 설계시 크게 고려할 것은 없습니다만... 오늘은 이 규격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알고 안하는것과 몰라서 안하는것은 큰 차이가 있으니깐요.^^;


최근의 PCB들은 더욱더 복잡해지고, 고밀도 제품으로 설계되고 있다.

부품의 종류도 대부분 SMD 부품을 사용하고 있는 현실이고, 작은 PCB에서 디버깅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방식

JTAG은 IEEE 1149.1컨트롤러에 정의된 방식으로 4~5가지의 신호를 이용하여 테스트 할수 있다.

TCK : Test clock input

TDO : Test data output, Test한 결과를 외부에서 모니터링 하기 위한 pin, 이 역시 TAP state에 따라 address/data가 될 수 있음.

TDI : Test data input , Test하기 위한 데이터 신호. TMS에 의해 전이된 TAP state에 따라, TDI가 command/data 가 결정됨

TRST : Test reset input

TMS : Test mode setup , Test Mode 전환하기 위한 제어 신호


동작 주파수는 10-100MHz (10-100ns/bit)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100 Ohm Series resistor를 사용하여 임피던스 케이블과 임피던스 매칭을 시킨다.

케이블은 20cm 이내가 되도록 설계한다.

JTAG의 신호는 RS422로 디퍼런셜 신호를 구성한다.

데이터 라인은 한개만이 유효하기 때문에, 프로토콜은 시리얼 방식을 사용한다.


배선 경로가 비슷하기에 큰차이는 나지않아 특별히 Signal skew 를 맞추지 않아도 될것 같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