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B 설계를 하면서 PCB적층구조를 몇층으로 어떠한 구조로 해야할지 막막한 많은 고민을 하게됩니다.
이때 어떠한 기준으로 보아야 할지를 생각해 보겠습니다.
1. BGA가 있는가?
BGA가 있다면 적층구조의 결정을 BGA 열수를 고려해서 결정한다.
즉, 물리적으로 배선을 뽑을수 있는 층을 계산해야한다.
2. 임피던스 배선이 있는가?
임피던스 배선이 있다면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적층구조를 만들어야합니다.
물론 단면, 양면 이라도 임피던스 매칭은 가능합니다만 이론치와 공장에서 나온 PCB의 결과물은 엔지니어가 검증해야합니다.
3. 전원이 중요한 보드인가?
많은 종류의 전원이 있고, 간격을 충분히 유지해야한다면 그에 맞게 적층도 고려해야할 것입니다.
4. 배선을 뽑을 수 있는가?
이부분이 가장 어렵겠지요. 4층으로 할지 6층으로 할지 결정하지 않은상태에서 물론 6층으로 배선하면 4층으로 배선하는 것보다는 쉽겠죠? 배선이 되는 구조인지 빠른 결정이 필요합니다.
부품 배치를 완료한 상태에서 대략 중요 배선을 먼저 배선해 보면 됩니다.
결과적으로 부품배치단계에서 적층구조부터 임피던스 계산 모두 고려해서 설계해야합니다.
이상 초고속 시스템 PCB설계전문 연구실 휴민스 였습니다.
DDR3 SDRAM을 이용한 204Pin Unbuffered SODIMM Design Spec. (0) | 2017.04.01 |
---|---|
PCB설계 절차 (0) | 2017.03.03 |
전압을 고려한 PCB설계 기법 (0) | 2017.03.03 |
전자산업의 핵심기술인 PCB설계학의 정의 (0) | 2014.04.13 |
PCB의 정의, PCB산업의특징, PCB산업의 전망 (0) | 2014.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