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제품의 개발 과정
[ 기획단계 ]
1) 제품의 외관 형태가 결정되면 PCB 크기와 모양도 재결정
2) 기능이 추가되어도 PCB가 바뀔 가능성이 크다.
★ 제품의 기획과 PCB설계는 밀접한 관계가 있다.
[ 설계단계 ]
1. 회로설계
기획된 설계를 구현하기 위한 단계로, 입력조건 대비 출력 값을 실현하기 위해 중간
회로를 설계하는 단계
2. 기계구조물 설계 (기구설계)
PCB가 장착될 공간을 확보하고 기판과 기판사이를 연결하는 커넥터 위치 결정과
하니스 하이웨이(Harness Highway)를 설계하는 단계이다.
커넥터 위치 결정은 기판설계에도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커넥터의 위치에
따라 배치가 달라질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레이아웃 설계가 제대로 수행되지
못할수 있다. 고정홀(Mounting Hole)의 위치가 배선 설계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3. PCB설계
완성된 회로도면을 가지고 이미 결정된 기판의 크기, 컨넥터의 위치, 고정홀, 외형 형상
등을 바탕으로 부품의 배치와 배선설계, 기판의 층 수 및 두께 등을 고려하는 단계
è 회로와 환경의 특성을 충분히 고려하여 설계
(노이즈문제, EMI문제, 고속신호문제, 전원문제 등에 강한 내성을 지닌 PCB)
4. 제품의 조립 및 기능검사
베어보드(Bare Board)에 부품을 실장하고, 초기의 기획단계의 의도대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실험을 통해 검증하는 단계
è 조립하는 과정에서의 문제점도 종합적으로 검토
[ 기판 제작 단계 ]
1. CAM(Computer Added Manufacturing)설계
CAM에서는 레이아웃 설계가 완성된 거버 데이터를 가지고 실제 PCB 제작을 수행
하기 위한 설계 단계이다.
è 제조규격사양관리(요구사항 반영), 기판을 제작하기 위한 필름제작 및 드릴데이터
등을 추출한다.
2. PCB의 제작 및 검사
PCB 제작 및 검사는 CAM에서 만든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제로 기판을 만드는 단계
제조기술과 공법은 다양하며 여러 단계를 거쳐 PCB를 제작한다.
è PCB 출하 전에 최종적으로 검사하는 BBT(Bare Board Test) 검사와
육안검사 등을 진행하고 확인후 문제없는 제품을 공급한다.
기존,
제품의 개발가정은 제품의 기획단계와 회로설계가 매우 중요한 역할
현재,
PCB설계 기술이 회로설계만큼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회로설계가 PCB설계는 결과적으로 문제없는 PCB제품을 만드는데 있다.
예기치 않았던 문제들이 PCB설계 단계에서 발생하는 빈도가 높아지고 있다.
개발비용과 개발시간의 낭비가 발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