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CB설계 ]/2.통신, 규격, DesignGuide

LoRa (IOT에 최적화된 네트워크 기술)

HUMINS 2017. 2. 23. 09:35

LoRa 기술

IOT에 최적화된 네트워크 기술로 꼽히고 있으며 많은 기업이 관심을 가지게 되는 LoRa 테크놀리지에 대해서 알아본다.


먼저 LoRa 는 Long Range의 약어로서, 대규모 저전력 장거리 무선기술을 의미한다.

소량의 데이타를 전송하고 장거리 통신이 가능한 기술이기 때문에 IoT에 매우 최적화 되어있다고 본다.

통신속도는 0.3Kbps에서 5Kbps로 전파의 전송거리는 최대 20Km이다.


즉, 소량의 데이타를 전송하기 때문에 전력을 많이 필요로 하지 않고, 뛰어난 성능을 요구하지 않는다.

다른 방식보다 소량의 데이터를 더욱 먼 거리까지 전송할수 있어서 다양한 IoT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해준다.


단점은 네트워크를 기존에 구축된것을 쓸수 없고, 새로 구축해야 하는 점이다.

그러나 비면허 주파수 대역인 ISM 대역을 활용해야하기 때문에 시차적 이익과 비용 측면에서 경쟁령이 매우 뛰어나다.


최근 SKT에서 전용 전국망을 구축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전국망을 설치하게되면 이를 이용한 기술서비스가 많아질 것으로 보여진다.

전국망이 되는 곳은 세계 어디에도 없는 만큼 IT 강국의 위상을 한번 더 보여줄 것으로 기대된다.


LoRa와 비슷한 기술이 LTE-M이다. 기존의 LTE 커버리지 대비해서 최대 3배까지 확장할수 있는 기술이다.

휴민스는 LoRa를 이용한 시스템 설계를 진행하고 있어서 관련기술을 습득 차원에서 스터디 하면서 정리한다.


단순한 PCB설계가 아닌 시스템을 이해하는 설계를 위해서 최선을 다하고 있다.


휴민스 전자캐드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