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와 음향 커플러, 모뎀 등을 접속하는 직렬 방식의 인터페이스의 하나이다. 인터페이스는 포트라고도 하여 일반적으로 직렬 포트라고 불리기도 한다.
RS-232 표준문서에 기술된 25핀 DB25 컨넥터
원래는 터미널 단말기와 모뎀의 접속용으로 쓰였다. CCITT(현재 ITU-T)가 V.24, V.28을 권고로 하고 있던 것을 미국 EIA(The Electronic Industries Alliance)가 통신용으로 규격화한 것으로, 텔레타이프 라이터, PC 등의 DTE (Data Terminal Equipment : 데이터 단말장치), 모뎀 등의 데이터 회선 종단 장치 (DCE: Data Circuit-Terminating Equipment)를 접속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전기적, 기계적인 특성을 정의한 것이다.
25핀의 단자 규격은 단말 쪽은 아니고 모뎀 쪽의 연결기 규격으로 정해져 있기 때문에 PC에서 케이블 본체는 아니고 모뎀 등에 붙어 있는 것이 많다. 현재 많이 이용되고 있는 규격으로는 IBM사가 만든 9핀 단자(직렬 포트)가 있으며 널리 보급되어 있다. 이로써 새롭게 규격에 더해져서 ANSI/TIA/EIA-574-90으로 정해졌다.
현재는 그 규격이 오래된 인터페이스로 분류되었고, 주변기기의 접속 용도에는 USB, IEEE1394 등과 통신 용도로는 이더넷(ethernet) 등에 그 역할이 대체되고 있다. 그러나 노이즈에 큰 영향을 받지 않고 먼 곳까지 신호를 전달하고, 단순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아직까지도 유용하다. 일반적으로 한 케이블에 10m 정도까지는 정상적으로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게 되어 있다.
9핀의 경우 핀맵은 아래와 같다.
The signal names refer to the DTE device.
Pin | Signal | Direction | Description |
---|---|---|---|
1 | DCD | DTE <- DCE | Data Carrier Detect (when connected). |
2 | RxD | DTE <- DCE | Received Data (sent from DCE). |
3 | TxD | DTE -> DCE | Transmitted Data (sent from DTE). |
4 | DTR | DTE -> DCE | Data Terminal Ready (for connection). |
5 | GND | Common ground. | |
6 | DSR | DTE <- DCE | Data Set Ready (to connect). |
7 | RTS | DTE -> DCE | Request To Send (or DTE ready to receive). |
8 | CTS | DTE <- DCE | Clear To Send (or DCE ready to receive). |
9 | RI | DTE <- DCE | Ring Indicator (with incoming call). |
We will now look to the wiring options and present a number of often used cables
MAIL 과 FEMAIL을 구분하여 핀맵을 참고하면 아래와 같다.
참고문헌 : http://www.ethernut.de/en/documents/rs232primer.html
참고문헌 : https://ko.wikipedia.org/wiki/RS-232
이상 전자캐드연구소 휴민스와 함께 RS-232 설계 규칙에 대해서 알아 보았습니다.
High Speed PCB디자인은 전문가와 함게하셔야 안심이 되시겠지요?
감사합니다.
Rs422 통신개요와 PCB설계기법 (Rs422 Spec.) (0) | 2019.04.19 |
---|---|
HDMI PCB Design Guide (0) | 2017.10.07 |
LoRa (IOT에 최적화된 네트워크 기술) (0) | 2017.02.23 |
SATA의 개념 과 PCB설계 (0) | 2017.02.22 |
USB 배선의 Eye diagram (0) | 2017.02.22 |